카테고리 없음

한미 '2+2 통상 협의' 연기…대통령실 긴급 통상대책회의 소집

electric-car 2025. 7. 25. 15:35
반응형
한미 '2+2 통상 협의' 연기…대통령실 긴급 통상대책회의 소집

한미 '2+2 통상 협의' 연기…대통령실 긴급 통상대책회의 소집

2025년 7월 22일 | 정치경제브리핑

📌 한미 '2+2 통상협의' 돌연 연기

오는 8월 1일 발효 예정인 미국의 15% 상호관세 조치를 앞두고, 한국 정부와 미국이 준비 중이던 '2+2 고위급 통상 협의'미국 측 요청으로 연기됐습니다.

미 재무장관 스콧 베선트(Scott Bessent)의 일정상 사유로 회의가 불발되었으며, 이에 따라 한미 통상 라인의 불협화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대통령실, 긴급 통상대책회의 소집

이러한 상황에 대응해 대통령실은 오늘(22일) 오후, 비서실장 주재의 통상대책회의를 소집합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정책실장, 안보실장, 경제부총리, 국무조정실장 등이 모두 참여해 대응책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은 미국의 상호관세 결정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점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한미 통상 갈등의 배경은?

이번 상호관세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복귀 이후 강경한 보호무역 기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일본, 한국, 유럽 등 주요 우방국을 상대로도 관세 균형을 명분으로 한 조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농산물·기계 부품 등 전략 수출 품목에 대해 미국 내에서 "역차별 해소" 주장이 제기되면서, 동맹국들과의 경제 마찰이 점차 표면화되고 있습니다.

📌 핵심 키워드

한미 통상 협의 연기,2+2 회담 무산,상호관세 15%,트럼프 무역정책,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대통령실 통상대책,경제부총리 대책회의,미국 보호무역,한국 수출 피해,자동차 관세 갈등
      

🔎 마무리: 통상외교의 중대 고비

'2+2 통상 협의'의 연기는 단순한 일정상의 문제를 넘어, 향후 한미 경제협력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대통령실과 경제부처의 빠른 대응이 요구되며, 국내 기업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보완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정치경제브리핑 | 동맹국과의 경제협력,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